백인제와 유상규는 경성외전 외과학 교실의 교수와 강사 사이를 넘어서 매우 가까운 사이였다. 유상규는 백인제와 같은 해에 경성의전에 입학했으나 학업을 중단하고 중국에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하느라고 결국 백인제의 제자가 되었다.

백인제와 유상규 백인제와 유상규(1897-1936, 독립운동가, 의사)

백인제와 유상규 <선각자 백인제>259면에 실린 김희규의 증언에 의하면 둘은 경성의전 동기이자 막역한 친구 사이였다고 하며, 같은 책 235면 백향주의 증언에 의하면 백인제의 집은 유상규의 동생 유상하가 설계한 것이라고 한다. 백인제가 조선일보에 연재한 기행문 <인도양(印度洋)을 건너며> 1937년 1월 13일자 첫 회분을 보면 유상규와의 관계에 대해 '二人同心(이인동심)의 존재'로 표현하고 있으며, 한 단락을 유상규의 사망에 대해 쓰고 있다. 백인제가 흥사단과 관계를 갖게 된 것도 유상규의 영향이 컸을 것으로 생각된다. 백인제는 해방 직후 흥사단에 가입하였으며 단우 번호는 1102번이다.
-최규진, 황상익, 김수연 '의사학 제18권 제2호 157-172', 2009.에서 발췌


백인제 박사는 1928년부터 지속적으로 통속 의학 강연회에 참여하여 의학 지식의 대중화에 노력하였다. 여기서 '통속' 이란 대중을 상대한다는 뜻이다. 아래는 1935년 10월 24일자 동아일보 기사 내용이다.

의전 교수 백 박사라고 하면 누구나 다 알거니와 백인제 박사는 해교(該校: 경성의전) 외과과장으로서 유명할 뿐 아니라 외과학에 있어서 조선의 권위이다. 박사의 강의 시간에는 무더운 때라도 낮잠을 잘 수 없으며 그 수술을 볼 때는 감탄의 소리를 발하지 않을 수 없다 한다.

동아일보 신문기사 1930년 11월 16일 동아일보 통속 의학 강연회 공고 및 기사

동아일보 신무기사 1935년 10월 24일 동아일보 통속 의학 강연회 공고 및 기사

메인으로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