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인제 1. 소년 시절의 백인제 2. 청년 시절의 백인제 3. 1941년 경성의학전문학교 졸업 앨범의 백인제 4. 경성의전 교수로 임용된 직후 백인제

당대 최고의 외과 의사였을 뿐만 아니라 뛰어난 외과 의사를 많이 배출하여 우리나라 외과학의 기반을 다진 백인제 박사는 1898년 1월 28일 평안북도 정주에서 출생했다. 오산중학을 졸업한 뒤, 1915년 경성의학전문학교(경성의전)에 입학, 1919년에 3.1운동에 참가했다가 퇴학 당했고, 10개월간 수감된 후 복학했다. 경성의전 재학 시절 가장 나이가 어린 축임에도 리더 역할을 하였으며, 또 학업에 정진하여 수석의 자리를 내내 놓치지 않았다.

신문기사 백인제 박사는 1916년 경성의학전문학교(이하 경성의전)에 입학, 1921년 수석 졸업을 했다. 사진은 동아일보 1921년 3월 23일자에 게재된 백인제 박사 수석 졸업 관련 기사이다. 아래는 당시 동아일보 기사 내용을 현재의 말로 바꾼 것이다.

신의사(新醫師) 24명 의학 전문의 졸업식 경성의학전문학교 제5회 졸업식은 작일 오후 두 시에 동교 제1 강당 안에서 열렸는데 교원과 생도 일동이 착석한 후 동교 학생 일동의 군대(君代) 창가가 있고 지하 교장(志賀 校長)의 측어봉이 있은 후 도본(滔本) 교무주임의 학사 보고가 있었으며 졸업 증서와 상장의 수여식이 있은 후 다시 지하 교장의 학생에 대한 훈사가 있었고, 내빈 쪽에서 총독 대리로 송영(松永) 외사과장(外事課場)이 고사(告辭)를 읽은 후 역시 내빈으로 화전(和田) 경성의사회장(京成醫師會長)이 축사를 하고 졸업생 총대로 백린제 군이 답사를 하고 그 다음 간호부편에서도 답사가 있었다. 이번 졸업생은 본과(本科)가 24명이요 특별 의과가 13명이요 간호부가 8명인데, 본과 우등생은 백린제 군이요 특별과 우등생은 길촌장이다. 그러나 길촌에게만 일본약국주해(日本藥局註解)라는 상품을 받게 되었는데 그 학교 교사의 말을 듣건대 모든 학과의 성적은 백린제 군이 나으나 다만 결점은 백린제 군이 재작년 3월 1일 조선에 독립운동이 일어날 때에 제일 선두로 나섰던 일이 있어 징역 선고를 받은 일이 있었으나 집행 유예가 되어 나왔음으로 품행이 좋지 못하여 그리된 것이라 하며 당일 내빈은 총독부 쪽으로 송영 외사과장 외 다수한 관리가 참석하였으며 학부형 편에서도 많이 참석하였더라.


신문기사

메인으로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