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인제 박사
인술의 싹을틔우다
1. 소년 시절의 백인제 2. 청년 시절의 백인제 3. 1941년 경성의학전문학교 졸업 앨범의 백인제 4. 경성의전 교수로 임용된 직후 백인제
당대 최고의 외과 의사였을 뿐만 아니라 뛰어난 외과 의사를 많이 배출하여 우리나라 외과학의 기반을 다진 백인제 박사는 1898년 1월 28일 평안북도 정주에서 출생했다. 오산중학을 졸업한 뒤, 1915년 경성의학전문학교(경성의전)에 입학, 1919년에 3.1운동에 참가했다가 퇴학 당했고, 10개월간 수감된 후 복학했다. 경성의전 재학 시절 가장 나이가 어린 축임에도 리더 역할을 하였으며, 또 학업에 정진하여 수석의 자리를 내내 놓치지 않았다.
백인제 박사는 1916년 경성의학전문학교(이하 경성의전)에 입학, 1921년 수석 졸업을 했다. 사진은 동아일보 1921년 3월 23일자에 게재된 백인제 박사 수석 졸업 관련 기사이다. 아래는 당시 동아일보 기사 내용을 현재의 말로 바꾼 것이다.
신의사(新醫師) 24명 의학 전문의 졸업식
경성의학전문학교 제5회 졸업식은 작일 오후 두 시에 동교 제1 강당 안에서 열렸는데 교원과 생도 일동이 착석한 후 동교 학생 일동의 군대(君代) 창가가 있고 지하 교장(志賀 校長)의 측어봉이 있은 후 도본(滔本) 교무주임의 학사 보고가 있었으며 졸업 증서와 상장의 수여식이 있은 후 다시 지하 교장의 학생에 대한 훈사가 있었고, 내빈 쪽에서 총독 대리로 송영(松永) 외사과장(外事課場)이 고사(告辭)를 읽은 후 역시 내빈으로 화전(和田) 경성의사회장(京成醫師會長)이 축사를 하고 졸업생 총대로 백린제 군이 답사를 하고 그 다음 간호부편에서도 답사가 있었다. 이번 졸업생은 본과(本科)가 24명이요 특별 의과가 13명이요 간호부가 8명인데, 본과 우등생은 백린제 군이요 특별과 우등생은 길촌장이다. 그러나 길촌에게만 일본약국주해(日本藥局註解)라는 상품을 받게 되었는데 그 학교 교사의 말을 듣건대 모든 학과의 성적은 백린제 군이 나으나 다만 결점은 백린제 군이 재작년 3월 1일 조선에 독립운동이 일어날 때에 제일 선두로 나섰던 일이 있어 징역 선고를 받은 일이 있었으나 집행 유예가 되어 나왔음으로 품행이 좋지 못하여 그리된 것이라 하며 당일 내빈은 총독부 쪽으로 송영 외사과장 외 다수한 관리가 참석하였으며 학부형 편에서도 많이 참석하였더라.
재단법인 백병원
우리나라 최초 민립 공익 법인
사진은 1942년 증축 공사를 마치고 완공된 백병원 모습. 1946년 12월 7일 백인제 박사는 조국에 대한 애국심과 높은 뜻으로 그동안 병원 운영을 통해 마련한 전 재산을 기부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민립 공익 법인인 재단법인 백병원을 설립했다. 설립 당시 이사는 백인제, 김희규, 백붕제, 박병래, 기용숙 박사가 선임되었으며, 감사는 공병우, 백기호 박사가 선임되었다. 정관에는 인술제세(仁術濟世)의 이념 아래 인술(仁術)로써 겨레와 인류를 구한다는 것, 의학 연구와 교육, 특히 교육을 통해서 나라와 겨레를 구할 인재를 양성한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었다. 선진국인 미국에서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철강으로 재벌이 된 카네기가 미국 최초로 부를 사회에 환원, 카네기재단을 설립하여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외된 불우한 국민의 교육, 문화, 복지(카네기재단, 카네기멜론대학 설립)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후에 록펠러, 포드 등 여러 재벌이 이를 본받음으로써 미국에서 오늘날과 같은 자본주의의 꽃을 피워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공익 법인인 재단법인 백병원도 미국의 카네기재단에 필적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여러 변수가 잠복해 있는 복잡한 사회에서는 획기적인 일이라 할 수 있다.
좌. 1942년 증축 공사를 마치고 완공된 백병원 모습.
우. 1947년 1월 1일 경향신문. 백인제병원을 재단법인으로 한다는 내용의 기사가 실려 있다. 기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외과 의술계의 권위 백린제 박사가 경영하는 서울 저동2가 백병원은 이번에 1천3백56만 원 재단법인으로 개조하는 동시에 의학 연구 기관 설치, 의학 연구 장학금 제도 설정 등 여러 가지 사업으로 재출발을 하기로 되었다 한다.
인제의과대학 개교
5개병원 4000병상 갖춘 국내 최고의 사립병원으로 성장
1976년 4월 5일 백병원 증축 완공 기념 식수 사진은 백병원 개설을 정식으로 허가한 의료 기관 개설 허가증(1974.3.25.) 1972년 3월 부분 개원을 시작했지만, 서울시로부터 정식 개설 허가를 받은 것은 1974년 3월이었다. 개설 허가증에 따르면 공식적으로 개설한 것은 1972년 12월 20일이었으며, 18개과 68실 166병상이 개설되었다. 서울백병원은 1975년 3월 현재의 규모인 지하 2층 지상 12층 350병상의 현대식 병원을 갖춤에 따라 새로운 도약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1973년에는 인턴 및 단과 수련 병원으로 인정받았고, 1974년에는 인턴 및 레지던트 수련 병원으로 인정돼 명실상부한 교육 병원으로 발돋움했다. 지상 12층, 지하 2층의 서울백병원은 3단계로 나누어 장장 6년에 걸친 공사 끝에 완공을 보았다. 부산백병원과 상계백병원 등등이 각각 2년여 기간에 완공된 것과 비교하면 얼마나 어려웠는지 짐작할 수 있다.
백병원은 1975년 8월 12일 강당에서 광복 30주 기념 학술강연회의 의학 부분 강연회를 열었다. 강사는 Dr. Richard E Wilson(하버드대학 외과 교수)이며, 이날 행사에는 80~90명이 참석하였다.
백병원은 1975년 8월 12일 강당에서 광복 30주 기념 학술강연회의 의학 부분 강연회를 열었다. 강사는 Dr. Richard E Wilson(하버드대학 외과 교수)이며, 이날 행사에는 80~90명이 참석하였다.
1975년 7월 26일 새마을 무의촌 진료 사업 사진
1975년 7월 26일 백병원은 22명의 의료진이 안성군 일죽면 금산리 율동마을에 내려가 군수 이하 많은 군민의 환영을 받으며 300여 명의 각종 환자를 수술 또는 진료하는 큰 성과를 거두었다.
인제대학교 백병원
인덕, 인술을 갖춘 글로벌 인재 양성
백병원은 2007년 2월 22일 부산 해운대구 좌동에 위치한 해운대백병원 건립 예정지에서 기공식을 가졌다. 2005년 10월 6일 해운대백병원 부지를 매입한 이후 2006년 1월 26일 해운대백병원 건립 설명회, 종합 병원 건립 양해 각서를 체결하였으며, 대지면적 8495평(28,082㎡)에 지하 4층, 지상 17층, 건축 면적 34,530평 규모로 지어진 해운대백병원은 1000병상 규모를 갖추고 있다.
백낙환 당시 이사장은 "1979년 부산백병원 개원 이후 지난 28년 동안 부산 시민의 관심과 사랑으로 지역 최고의 병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며 "세계적 수준의 병원을 건립하여 지역 사회 발전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부산백병원 임상시험센터는 1997년 임상 시험 실시 기관으로 지정된 이래 2004년 4월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건복지부로부터 지역 임상 시험 센터로 선정되었다. 2006년 10월 18일 확장 개원한 임상 시험 센터(CTC)는 최고 수준의 임상 시험 수행 및 국내 임상 시험 활성화를 이끌어 가는 임상 시험 실시 기관이다.
부산백병원은 2007년 6월 8일 희귀 난치성 질환 센터, 2008년 의료 기기 임상 시험 센터 선정 등 최고의 연구 기관으로 발전하고 있다.